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 기자 대통령실 출입하는 정치부 조영민 차장 나왔습니다. <br><br>Q1. 어제 부산을 찾았던 대통령의 발언이 오늘 종일 화제였습니다. <br><br>어제 부산지역 사찰에서 나온 대통령 발언인데, 여러 말들 중에서 역시 가장 눈길을 끈 핵심은 2가지였습니다. <br><br>"어려운 상황이지만 '업보'로 생각하고 가겠다." <br> <br>"돌 던져도 맞고 가겠다" 두 문장입니다. <br><br>한동훈 대표 면담 바로 다음 날 나온 대통령의 워딩입니다. <br><br>Q2.그래서 더 관심인데요. 저는 업보라는 단어가 가장 눈에 띕니다. <br><br>본인이 그동안 쌓아온 일들이 만들어 낸 지금의 결과를 뜻하는 말이죠. <br><br>업보 말입니다. <br> <br>한동훈 대표 면담 다음 날 나온 발언이다 보니, 이 '업보'가 결국 한동훈 대표 가리킨 것 아니냐는 해석이 많았습니다. <br><br>여권 관계자도 "검찰총장 때 반부패수사부장, 대통령 되어서는 법무부 장관, 당 비대위원장까지 만들어줬다" "본인이 쌓은 업에 뒤통수를 맞고 있다" 이렇게 말하더라고요 <br><br>하지만 정작 대통령실은 한 대표 지칭이란 확대해석은 말아달라 하더라고요. <br><br>Q3. 확대 해석 하지 말라는 게 무슨 뜻입니까? <br><br>대통령실에서는 기득권의 반발이 큰 의료개혁, 노동개혁 등을 언급한 것 아니겠냐고 하더라고요. <br> <br>그러면서 의미심장한 이야기를 했습니다. <br> <br>한 대표와의 면담, 관계 언론에서는 이게 엄청 큰 일인냥 의미부여 하지만, 사실 대통령은 그렇게 큰 의미부여 안 한다고요. <br> <br>대통령이란 자리가 외교안보, 경제 등 신경쓸 게 얼마나 많은지 아느냐고 되물었습니다. <br> <br>쉽게 말해, 한 대표라는 인물이 갖는 비중이 그렇게 크지 않다는 걸 강조한 겁니다. <br><br>Q4. 하나 더 보이는 단어는 돌입니다. <br><br>좌고우면하지 않고 일하겠다며 나온 발언과 함께 등장한 말입니다. <br><br>"돌을 던지더라도 맞고 가겠다"라고 했습니다 <br> <br>한 대표 면담 결과에 대한 당 내든, 여론이든 비판적 분위기를 언급한 것으로 풀이되는 대목입니다. <br><br>다만 역시 대통령실에선 대통령이 추진하고자 하는 개혁 과제에 대한 일부 이해 관계자들의 반발을 언급한 것이란 반응이었습니다. <br> <br>당시 사찰에서 국회 다수 의석을 차지한 야당 이야기를 하며 나온 발언인데, 정부를 겨냥한 거대 야당의 파상공세를 가리키는 말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. <br><br>Q5. 여당에서 조차 그런데, 이 발언에 대해서는 비판이 나왔잖아요. <br><br>원래 취지나 의도가 어떻든 그게 대중에게 어떻게 받아들여지느냐도 정치입니다. <br> <br>말씀하신 것처럼 비판이 나왔는데, 그 인물 자체가 이례적입니다. <br> <br>김재원 최고위원입니다. <br> <br>사실 김 최고위원은 지도부에서도 친윤 성향으로 많이 분류하는 인물인데, 오늘 한 언론에 출연해 "국정 최고 책임자가 돌을 맞고 가겠다고 말씀하시면 안 된다" 이렇게 말했습니다. <br><br>대통령은 국가 원수이자 국가의 상징이라며, 문제를 해결해야 할 사람이지 돌 맞고 가겠다고 말하면 안 된다는 겁니다. <br><br>Q6. 돌 맞아도 간다, 좌고우면 않고 일하겠다. 이건 결국 바뀌진 않겠다는 뜻으로도 보이는데요? <br><br>오후 질문할 자리가 있어 공식 입장이 나왔는데,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 달라 이렇게만 말했는데요. <br><br>어제 발언, 한동훈 대표 관계든 개혁과제든 결국은 지금 스타일대로 갈 수밖에 없지만, 그 과정에서 받는 여러 비판에 대해서는 힘들다는 뜻도 함께 내비친 발언으로 보입니다. <br><br>지금까지 아는기자 정치부 조영민 기자였습니다.<br /><br /><br />조영민 기자 ym@ichannela.com